IKEA FREDDE 간단 소개 드립니다.


사진은 몇장 없네요^^ 만들다가 너무 집중 하는 바람에... 처음 시작 사진만 찍고 없다는 ㅠ


다만 구입을 고민하시는 분에게 유용한 몇몇 중요 치수를 추가로 정리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 책상이고, 형태가 독특하여 모니터를 두는 공간의 최대 높이값과, 컴퓨터 본체를 둘 수 있는 공간의 최대 높이와, 현실적인 높이 정도를 정리 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모니터 공간의 높이는

통과 높이: 50.8 cm [윗단 지지대와 하부 받침대 사이 공간]

최대 높이: 53.4 cm [윗단 받침대 아래 부분과 하부 받침대 사이 공간]


하부의 컴퓨터 본체 거치 공간의 높이는

통과 높이: 47.0 cm [책상 상판 지지대와 하부 받침대 사이 공간]

최대 높이: 50.8 cm [상판 아래 부분과 하부 받침대 사이 공간]



책상의 상/하판을 모두 제대로 조립 한 상태에서 모니터는 51cm 까지가 현실적인 높이 여유 입니다. 받침대 포함하여 이 높이 안에 들어가야 그대로 둘 수 있습니다.


하부 컴퓨터 본체는 높이가 현실적인 제한이고, 상단에 다른 연결 단자 등을 접근 하려면 해당 공간 만큼 추가로 고려 해야 합니다.





이 제품을 직접 업어 오시려면 아래 크기와 무게를 고려 하셔야 합니다. (2개를 모두 업어 오세요)

SUV + 뒷좌석 폴딩을 할 수 있으면 큰 어려움이 없습니다. 크기와 무게를 감안 하셔야 겠구요!


제품번호 패키지 W H L         무게

30361953 1     81 cm 5 cm 152 cm 26.21 kg

30361953 1     81 cm 5 cm 152 cm 28.85 kg



기념 사진(?) 몇 장 나아 갑니다.


프레임(철!)과 옆판(철판), 작은 목재 판들


상판과 테이블판(3층 구조)


부속품 - 조립시에 바닥 보호발 부터 끼워 주세요


이 까지 찍고 나머지는 집중해야 해서 더 촬영 하지 못했습니다.



구입 전 모니터, 본체 크기 고려 잘 하세요~


012345


IKEA에서 구입한 값싸고 가벼운 식탁 의자를 간단히 소개 드립니다.

이름은 LERHAMN 이라 하고... 원어로는 도저히 따라 읽을 수 없네요 호호!

패키지 무게도 4kg 조금 넘는 가벼운 물건 입니다.


반년 동안 사용 해 본 소감은 - 커버가 천이라... 음식물을 흘리면 바로 티가 나는 점이 아쉽고, 가벼워서 옮기기 좋고, 나름 튼튼하게 잘 지탱하고 있어 가성비가 매우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조립 사진 몇 장 나갑니다~ (클릭 하면 원본 크기!)


사실상 절반 이상이 조립 된 상태라 할 수 있습니다. 이미 패키지가 의자 형상을 하고 있죠


좌우로 배치하고, 숨어 있던 부품들


부품 확인


뚝딱 뚝딱 끼우고 조이기만 하면 완성 단계 까지 오게 됩니다.

토크 조절형 자동 드라이버가 있으면 더 편합니다.


완성! - 커버가 매우 밝은 색상이라... 나중에 세탁 하려면 다시 분해(위 사진에도 보이는 부착 부분)를 위해 볼트 4개를 풀어 주어야 하는 귀찮음이 있습니다.


이상 간단히 값싸고 가벼운 식탁 의자 - IKEA LERHAMN 을 살펴 보았습니다.


01234




집에서 java app.을 실행 하려 했더니 실행 즉시 app.이 닫혀 버리는 증상이 확인 되었습니다.

해당 app.을 다른 컴퓨터(Windows 7 구동)에서는 정상 작동 하는 것을 확인 했던 것이라 매우 이상한 상황!


Java crash log의 핵심만 요약 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 .

# A fatal error has been detected by the Java Runtime Environment:

#

#  EXCEPTION_ACCESS_VIOLATION (0xc0000005) at pc=0x0000000062146adf, pid=8912, tid=0x00000000000009b8

#

# JRE version: Java(TM) SE Runtime Environment (8.0_131-b11) (build 1.8.0_131-b11)

# Java VM: Java HotSpot(TM) 64-Bit Server VM (25.131-b11 mixed mode windows-amd64 compressed oops)

# Problematic frame:

# C  [msvcr100.dll+0x36adf]


. . .

. . .


Stack: [0x000000001f680000,0x000000001f780000],  sp=0x000000001f77ecc8,  free space=1019k

Native frames: (J=compiled Java code, j=interpreted, Vv=VM code, C=native code)

C  [msvcr100.dll+0x36adf]


Java frames: (J=compiled Java code, j=interpreted, Vv=VM code)

J 2701  sun.awt.shell.Win32ShellFolder2.getDisplayNameOf(JJI)Ljava/lang/String; (0 bytes) @ 0x00000000028412c9 [0x0000000002841280+0x49]

j  sun.awt.shell.Win32ShellFolder2.access$1600(JJI)Ljava/lang/String;+4

j  sun.awt.shell.Win32ShellFolder2$13.call()Ljava/lang/String;+15

j  sun.awt.shell.Win32ShellFolder2$13.call()Ljava/lang/Object;+1

J 1987 C1 java.util.concurrent.FutureTask.run()V (126 bytes) @ 0x0000000002d4764c [0x0000000002d47400+0x24c]

. . .

. . .


결론은 아래의 bug report를 보면 되는데.

요약 하면 Windows 10 최신 update로 인하여 GOD mode를 설정한 폴더명이 NULL 로 처리 되어 java awt내부 code에서 crash를 일어키는 현상 입니다.

MS를 미워할 수는 없는것이 결국 java에서 exception handling을 안해서 여서...


그런데 수정 내용을 보니, 원 Java 9에서만 수정 반영 했다는 것! 

Java 8은 그냥 쌩....


그래서 해결 방법은 만일 바탕화면에 GOD mode 설정한 폴더가 있다면 (이름이 없습니다) 이것을 삭제 하거나 다른 폴더로 이동 후 java app.을 실행 하면 됩니다.


Java 9 을 사용할 계획이 없다면 가장 적절한 선택일 것 같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java bug report는 아래 URL에서 확인 가능 합니다.

http://bugs.java.com/bugdatabase/view_bug.do?bug_id=8179014


관련 사항은 아래와 같이 여러 리포트가 있습니다.

Backport:
Backport:
Duplicate:
Duplicate:
Duplicate:
Duplicate:
Duplicate:
Duplicate:
Duplicate:
Duplicate:
Duplicate:
Duplicate:
Duplicate:
Duplicate:
Duplicate:
Duplicate:
Duplicate:
Relates:
Relates:


이로서 Bug는 가만히 있어도 (남들에 의해서) 만들어 진다는 진리? 를 아주 큰 S/W 기업에서도 확인이 되었네요^^ (그렇다고 엄청난 예외 code를 넣는 것도 쉽지 않으니)


보너스~ 해당 문제 해결 code 변경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hg.openjdk.java.net/jdk9/jdk9/jdk/rev/a7c8147f1891


files src/java.desktop/windows/native/libawt/windows/ShellFolder2.cpp test/javax/swing/JFileChooser/GodMode/JFileChooserTest.java

--- a/src/java.desktop/windows/native/libawt/windows/ShellFolder2.cpp	Tue May 09 12:19:08 2017 -0700
+++ b/src/java.desktop/windows/native/libawt/windows/ShellFolder2.cpp	Thu May 11 12:41:35 2017 +0530
@@ -1,5 +1,5 @@
 /*
- * Copyright (c) 2003, 2015, Oracle and/or its affiliates. All rights reserved.
+ * Copyright (c) 2003, 2017, Oracle and/or its affiliates. All rights reserved.
  * DO NOT ALTER OR REMOVE COPYRIGHT NOTICES OR THIS FILE HEADER.
  *
  * This code is free software; you can redistribute it and/or modify it
@@ -205,14 +205,19 @@
 static jstring jstringFromSTRRET(JNIEnv* env, LPITEMIDLIST pidl, STRRET* pStrret) {
     switch (pStrret->uType) {
         case STRRET_CSTR :
-            return JNU_NewStringPlatform(env, reinterpret_cast<const char*>(pStrret->cStr));
+            if (pStrret->cStr != NULL) {
+                return JNU_NewStringPlatform(env, reinterpret_cast<const char*>(pStrret->cStr));
+            }
+            break;
         case STRRET_OFFSET :
             // Note : this may need to be WCHAR instead
             return JNU_NewStringPlatform(env,
                                          (CHAR*)pidl + pStrret->uOffset);
         case STRRET_WSTR :
-            return env->NewString(reinterpret_cast<const jchar*>(pStrret->pOleStr),
-                static_cast<jsize>(wcslen(pStrret->pOleStr)));
+            if (pStrret->pOleStr != NULL) {
+                return env->NewString(reinterpret_cast<const jchar*>(pStrret->pOleStr),
+                    static_cast<jsize>(wcslen(pStrret->pOleStr)));
+            }
     }
     return NULL; 

} 


즐 개발 / 즐 컴퓨팅 되시길~


형광등 램프 대신 LED 램프로 변경하면 전력 소모도 줄어 들고 형광등 램프 수명 종료로 인한 교체 주기도 길어 지기에 LED 램프로 교체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기존 형광등 기구가 멀쩡하거나 특정 크기의 매립형 이라면 교체하기 아깝거나 교체 하기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기 집이 아닌 경우 더욱 곤란 하겠죠!


그래서~ 

이 글에 소개 드리는 내용은 쉽게 구매할 수 있는 램프 소켓소켓형 LED 램프만 활용하여 기존 형광등 기구를 그대로 재활용 하여 최소 노력 + 최소 비용으로 LED의 장점을 누릴 수 있는 DIY 입니다.

아래는 매립형 기구를 소개 드리고 있지만 공간만 충분히 나온다면 방등 역시 재활용 가능 합니다.


필요 부품 

전구용 소켓 - 검색어로 "방수소켓"으로 여러 온라인 몰에서 구매 가능 (E26, 26베이스)

LED 램프 - 표준 크기 이하로 구매 (E26, 26베이스)

추가 전선 - 소켓에 전선이 없거나 짧은 경우 연장하여 이어서 사용 합니다

케이블 타이 - 아래 사진 참고하셔서 필요한 크기와 수량을 선정

압축 튜브 혹은 전기 테잎 - 전선 연장 후 마무리 작업


필요 도구 

니퍼 - 전선 피복 까기, 케이블 타이 자르기

플라이어(벤치) - 전선 잡기 용도 등

십자 드라이버 (형광등 기구의 전선 고정용 볼트를 풀때 사용 합니다)

납땝 인두기

납땜용 땜납

전기작업용 장갑(고무 코팅 장갑)




필수 부품인 E26 규격의 소켓 램프를 끼울 수 있는 소켓 입니다.

일명 "방수소켓" 이라고 합니다 - 이와 유사품으로 구매 하시면 됩니다. 단! 크기가 작아야 기존 등기구에 잘 장착 하겠죠


구매한 소켓에는 전선이 이미 짧지만 부착이 되어 있습니다.

끝 부분을 니퍼로 자르고, 전선의 피복을 벗겨 냅니다. (7~8mm 정도)

제가 부착할 조명 기구에는 하나는 그대로 부착이 되고 하나는 전선 연장이 필요 했습니다.

아래 부분에 연장에 사용할 두가닥 전선 입니다. 적당히 굵은 전선을 이용 하세요.

램프는 미리 끼워 두셔도 OK! - 설치 때는 램프 결합 상태로 위치를 잡으셔야 두번 작업 하지 않습니다.


피복을 벗긴 끝 부분은 납땝기로 적절히 납을 코팅 해 줍니다.

인두기가 없다면 그냥 손으로 감아 주셔도 됩니다.


연장해야 한다면 납땜으로 연결 후, 아래처럼 압축 튜브 혹은 전기 테잎으로 잘 감아 줍니다.

저는 압축 튜브로 깔끔하게 했습니다만 - 상황에 맞추어 배선이 노출 되지 않게 처리 하시면 됩니다.


공략 대상 형광등 기구의 내부 입니다.

형광등 2개는 빼냅니다. 그리고 연결 단자에 기존 연결된 형광등 안정기 배선도 뽑아 냅니다.

뽑는 방법:

1. 최우선으로 전등 스위치를 내립니다. 당연히 전기 작업용 코팅 장갑을 손에 끼우시고~

2. 아래 보이는 연결 단자에 보이는 단자 고정 부분의 볼트를 적당히 돌려서(왼쪽으로) 전선을 물고 있던 부분을 풀어 줍니다. (아래 사진 확대 하시면 십자 볼트 3개가 잘 보일 것입니다)

3. 기존 전선(가운데 초록색 접지선을 뺀 백색, 흑색 2개)을 분리 후 단자가 닿지 않는 위치로 잘 분리 합니다.


앞서 준비한 램프 + 소켓을 합체(!) 한 생태에서 형광등이 빠진 자리에 적절히 위치 시킨 후, 전선을 앞서 안정기의 전원선이 연결되었던 위치로 두 선을 각각 연결 합니다.

가정용 전원은 교류(AC)전원이기에 극성이 없습니다, 합선이 되지 않게만 잘 연결 해 주시면 됩니다.

(아래 사진 클릭 하면 원본 크기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전선 연결과 함께 케이블 타이로 램프를 등기구에 잘 매달아 주시면 됩니다.

케이블 타이는 플라스틱 재질이라 전기적인 문제 없이 고정 가능 합니다. 이 때 DIY 능력을 발현 해 주셔야 겠습니다 "잘" 묶어야 하니 말이죠!!!

마무리는 앞서 풀어 두었던 전선 연결 단자를 드라이브로 적당한 힘으로 다시 감아(오른쪽) 주세요 전선이 빠지지 않도록!


전선 연결을 최종 완료 후 전원 스위치를 켭니다. 아래처럼 잘 점등 하면 OK


아래는 커버를 닫은 상태를 촬영했습니다.

사실 기존 형광등 보다는 약간 어둡긴 하지만 기존 36W x 2개 에서 9W x 2개로 전력 소모가 낮아지기도 하고 약간 spec. down이라 어두워 진 것은 당연 한 결과 입니다.

대신 LED는 켜자 마자 최대 광량을 보이고 형광등은 켜고서 약간 시간이 지나여 최대 광량을 보입니다.

밝기를 더 밝게 하고 싶으면 12W급 램프로 LED 램프를 변경 하거나 아예 램프를 3개 설치 할 수 있겠지만, 실 사용 결과 9W급 2개도 만족 합니다.

더욱이 36W x 2 (72W) 에서 9W x 2 (18W) 라 엄청난 전력 감소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LED라서 감소 한 것도 있지만 기존 램프가 오버 스펙(Over spec.) 이라서...


아래는 다른 위치의 내장형 램프를 변경한 결과 입니다. 위치가 반대이긴 하나 DIY 법은 동일 합니다.


이상 기존 형광등 기구를 그대로 활용한 소켓형 LED 램프 변경 DIY를 소개 드렸습니다.


012345678


한참 전에 구입하여 사용 중인 IKEA MOLGAN (몰간) 모션센서 LED 조명 (램프) 상세 사진과 대기 전류, 동작 전류 확인 사항 공유 드립니다.


이전에 트레이더스 구입했던 유사 제품과 비교하여 대기 전력이 1/10 으로 우수한 편입니다.

MOLGAN 대기 전력

0.059 mA 

트레이더스 제품 대기 전력

0.572 mA

즉 아주 가끔 동작 한다는 조건으로 무려 10배 가까운 대기 시간이 차이 날 수 있습니다.

단! MOLGAN은 AAA 배터리를 사용 하고 트레이더스 제품은 AA 배터리를 사용 하기에 실 사용 기준으로는 배터리가 더 큰 제품이 결국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AAA, AA 차이가 10배 용량은 아닌 2.x 정도)


사진 나갑니다. - 클릭 하면 큰 사진!(4096 x 2731)

제품 크기와 거의 동일한 작은 케이스에 담겨 있습니다. - 배터리 3개 미포함 이라고 큼지막 하게~


뒷면에 한글 표시가 있습니다.



제품 뒷면과 결합하는 별도 부품이 있어 해당 부품을 벽 등에 부착(추가 양면 테잎 포함)


본체 뚜껑은 볼트 하나 분리 후 배터리 AAA 크기 3개를 넣습니다.


배터리 장착 직후 바닥으로 동작 불빛이 보입니다.


벽면 등에 부착 후 인체가 감지 되면 동작 합니다.


아주 밝지는 않지만 그럭저럭 주변을 밝혀 줍니다.


멀티 테스터로 실 동작 중 전류 소모량 확인 - 98.2 mA 를 소모 중입니다.


추가 동작 하니 딱 100 mA 찍습니다.


이번에는 미동작(대기 중) 전류를 확인 했습니다 - 레인지를 4mA 로 변환 했으며 측정 결과는
0.059 mA 


이미 사용 중이던 다른 제품의 경우 대기 전류가 무려 0.572 mA 로 꾀나 차이가 났습니다.


0123456789101112


제품 구매 시 참고 하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