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BL 블루투스 이어폰 E25BT 개봉 사진 몇 장과 사용 소감을 간단히 정리 합니다. 


목 뒤로 고정핀을 이용하여 옷 위로 고정할 수 있는 작은 크기의 BT 이어폰입니다.

활동중에 착용하기 좋은 기능을 제공 합니다.


아쉬운 점으로 스위치가 크기에 비해 기능 구분이 쉽지 않네요... 제 손가락 감촉이 무뎌서 그런지...

그리고 별도의 고음질 코덱(codec)을 지원 하지 않아 고음에서 해상도가 떨어지고 소리가 뭉개져 들리는 것이 아쉽습니다.

전문적인 음악 감상용으로 사용은 적절하지 못하고 활동 중에 사용하는 용도가 적절해 보입니다. 


사진 몇 장 남깁니다. (고해상도 사진은 본문 맨 아래 슬라이드 이용하세요)


박스 포장 개봉 후, 내부 알맹이 부분


설명서, 안전 안내, 휴대용 파우치, 본체 등등


충전 케이블도 포함 되어 있습니다 - 길이는 22cm 로 짧은 편.


충전은 조작부에 고무 커버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충전 단자가 양면 대응이라 편하게 충전기에 부탁 할 수 있습니다.


충전은 약 30mA 로 진행 합니다 (구입 후 충전이라 완전 소진 후 충전율은 다를 수 있습니다)



고해상도 사진은 아래를 이용 하세요.

012345



QM5가 나이를 먹음에 따라 정비 해 주어야 할 부분이 하나씩 추가 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QM5 특징 중 하나인 클램쉘 테일 게이트 스테이 어셈블리 교체 입니다.


문제 증상은 어느 날 갑자기 테일 게이트를 닫으려 할 때 양쪽에 위치한 당김 역할을 하는 스테이 어셈블리가 줄어 들지 않고 뻑뻑한 상태로 고정이 되는 것입니다.

저도 드디어 이 증상이 발생 했습니다.

문제의 원인은 해당 부품의 안쪽에 위치한 용수철이 녹이 슬어 어느 시점에 끊어져 더 이상 내부 고정 끈을 당겨 올리지 못해 발생 합니다.

불행이도 해당 용수철이 녹에 취약한 재질인 듯 하고... 현재로서는 수명이 다 하면 교환 하는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문제 발생 직후, 힘을 가하면 이렇게 됩니다. (어셈블리 바깥 플라스틱 부품 깨어짐)


붉게 녹슨 용수철 부품이 끊어져서 더 이상 당겨 주지 못하고 방해물 역할을 하게 됩니다.



국내 몇 대 없는 수동 미션 QM5 4륜 모델을 좀더 오래 탈 생각이라, 이번 교체를 하면서 스테이 어셈블리 하단에 작은 구멍을 내어 녹 방지 방청제를 다량뿌려 주었습니다.


사진 몇 장과 간단한 설명으로 정리 합니다.


필요 공구: T50 롱 소켓 렌치 - 테일게이트 쪽에는 꾀 강하게 고정 되어 있어 라쳇 소켓 렌치용 구해서 사용 했고 적절한 선택이라 생각 됩니다.

오픈마켓에서 롱 소켓 렌치 복스알 (1/2)DR T50 로 찾으시면 됩니다 (2,600 원)


제가 가진 렌치 규격인 1/2 크기 소켓에 해당 하는 부분


T50 규격 확인


내부가 빈 형태인데, QM5는 꼭 내부가 빈 형태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필요 부품

스테이 어셈블리-테일 게이트,좌 90461JY00A

스테이 어셈블리-테일 게이트,우 90460JY00A

  첫 출시 시점 28,600 원 하던 부품이 이제 무려 38,000 원을 받아 먹는군요! 어마어마합니다!


장착 전 스테이 어셈블리 하단에 조심스럽게 구멍을 내어 이곳으로 방청제(오리지널 양털유(플루이드 필름) - 누른 색의 특유의 냄새가^^)를 내부를 충분히 적시도록 뿌렸습니다.


고정 시점에 하단에 위치하는 부분에 작은 구멍을 내었습니다. 혹시나 타고 들어간 수분이 잘 빠지도록 역할을 할 수도...


고장 난 부분을 보셨다면 아시겠지만 내부는 넓은 형태의 고장력 끈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구멍을 낼 때 드릴을 사용한다면 조심스럽게 뚫어야 합니다. 저는 드레멜 + 워크스테이션으로 무리하지 않고 살짝 구멍을 내었습니다. 

이곳으로 방청제 다량 투여! - 



이후 사진은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사진들 입니다.


방청제를 충분히 먹인 스테이 어셈블리 장착 대기!


먼저 끊어진 우측 스테이 어셈블리는 칼로 지지하는 끈을 자릅니다.

우측을 끊어도 왼쪽에서 고정을 해 주기에 하나씩 진행 하면 됩니다.



그리고 필수 공구인 T50 소켓 + 라쳇 렌치로 힘을 가하여 풀어 냅니다.


잘 풀어 냈습니다.


그리고 상단에 고정된 기존 부품을 분리 해야 하는데...

QM5의 꾀 험난한 정비 item중 하나인 리어 램프 분리가 필수 입니다.

소위 말하는 신공(?)인 뺨 때리던 쳤는데... 겨울이라는 특수성(손에 감겨야 하는데...)과 한쪽이 너무 꽉 끼여 있는 상태라 결국 테잎 신공으로 분리 했습니다.

테잎 신공 = 포장용 셀로판 테잎을 여러번 겹겹이 발라 당길 수 있는 손잡이를 만듭니다.

그리고 짧고 강하게 테잎을 순간적으로 당기면 분해 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으로 절대 크게 당기면 안됩니다. 풀 스윙이 아닌 숏 스윙으로 탁~ 당겨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분해 후 연결된 전선관련 부품이 파손 될 수 있습니다 (이미 한번 해 먹어서 살짝 땜방을 했었죠)


잘 빠지지 않는 바깥쪽 2개의 마운트 포인트!


위에서 보면 이 위치


다른 각도에서


나머지는 사진으로 찍어 두질 않았습니다.


윗쪽 2개의 T50 볼트도 풀어서(이건 잘 풀리네요) 테일게이트를 약간 열어 놓는 위치로 올려 고정하면 쉽게 완료 할 수 있습니다.


반대편도 동일 과정으로 완료 하면 됩니다.


이상 QM5 테일게이트 스테이 어셈블리 교환과 관련 팁을 정리 했습니다.


고해상도 사진은 아래 슬라이드를 통해 확인~

01234567891011121314151617


미국 지역용(120V) 전자제품 사용을 위해 링코어형 다운 트랜스를 구매 했습니다.

보통의 소형 전자 제품이라면 프리 볼트(Free volt) 제품도 많겠지만 모터가 장착된 제품들은 기대 할 수 없고 120V 다운 트랜스를 구입을 해야만 합니다.


그리고 대부분 모터 제품은 소비 전력이 많거나 케이스가 금속으로 되어 있어 만약을 대비한 접지 단자를 필수로 요구 합니다.

그래서... 위 조건을 고려하여 다운 트랜스를 구매 했는데...

불행이도 접지 단자가 존재하지 않는 제품이 왔습니다.

(접지 단자가 필수라면, 꼭 미리 판매자에게 확인 하셔서 접지 단자 제품을 구매하세요)


나름 저렴한 가격에 효율 좋은 링코어 타입 + 플라스틱 바디라 좋아라 했는데 - 접지가 없습니다!

그래서 직접 접지 단자를 추가 하면서 사진과 함께 작업 내용을 정리 해 보았습니다.

내부가 궁금 하시면 사진만 감상 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안전 측면에서도 아쉬운 부분이 있어 입력 전원 케이블을 바꾸는 김에 추가적인 감전 예방을 위한 수축 튜브 처리도 했습니다.


개조에 필요한 재료는 아래와 같습니다.

* 접지형 220V 플러그 + 케이블 - 원 장착과 동일 규격이 1㎟ 굵기 3선 사용

* 220V --> 110V 어댑터 (일명 돼지코) : 접지 단자 접속 단자로 사용 합니다

* 약간의 수측 튜브(연결 단자에 맞는 크기)


*개별 사진의 원본 크기는 맨 아래 슬라이드를 선택 하세요!


최초 구입 상태의 뚜껑 분리한 상태 사진 

케이스는 플라스틱으로 전체 무게 감소에 도움을 줍니다.

전원 케이블은 무접지형, 내부에 2단자형 과전류 차단기를 통과하여 링코어와 연결 됩니다.


마무리가 아쉬운 차단기 쪽의 입력 전원 연결 부분 


옆쪽 환풍구 쪽으로 접속 단자가 그대로 보입니다.

혹시나 금속 물질이 닿으면 큰일 나겠죠!


접지 단자가 존재 하지 않는 120V 플러그 - 앞쪽에 접지 단자 구멍은 존재 합니다.


참고사진 - 전류 차단기 규격 명세 부분



접지 단자 만들기 위한 '돼지코' 의 희생~

내부 접속 부분만 분리하고(220V 플러그는 분리 합니다) 이것을 120V 소켓의 텅 비어 있는 접지 단자 부분에 고정 합니다.


추가하여 고정한 접지 단자 부분

포맥스 조각과 접속 단자 부분을 겹합하여 120V 소켓의 접지 단자 내부로 빠지지 않게 걸림처리 하고 고정은 에폭시 수지 본드를 사용하여 고정 합니다!

그 전에 미리 접지단자를 전선과 납땝합니다.


접지형 220V 케이블을 원래 것을 참조하여 피복을 벗기고 위치를 잡아 봅니다.



1.00㎟ 규격의 3선식 케이블로 구성한 KS 표준형 접지 케이블을 사용 했습니다.

집에서 굴러 다니던 컴퓨터용 케이블인데 여러개 중에 한개만 1.00㎟ 규격을 만족 하네요. 2000W 를 감당하기 위한 규격 입니다. (0.75 짜리가 흔한데, 이것은 규격을 만족 못합니다)


전체 배선 완료! - 차단기로 전원선을 연결하고 압축 튜브로 외부 노출 방지

추가한 접지 단자로도 접지선을 압축 튜브 처리로 안전하게 마무리


마무리 부분 확대


링코어 주변에 적절히 고정 했습니다.


이제 덥개를 다시 씌우고 볼트로 고정하면 끝!


이로서 접지형 링코어 변압기로 변신을 완료 했습니다.


접지형이 필요하시면 꼭! 미리 확인하시고 접지 단자 있는 제품을 구매 하세요, 위의 과정에는 추가적인 부품과 노력, 공구가 필요합니다.


즐 DIY~ 하세요.


큰 크기 사진은 아래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012345678910111213



아래는 별도로 스마트폰을 찍은 제품 사진들 입니다. (구입 후 스펙 확인)


120V 다운 트랜스 확인용 스티커


전면 - 동장 램프, 전원 단자를 겸하는 과전류 차단기, 120V 전원 소켓(접지는 비어 있습니다)


120V 출력 확인!


부하 없이 켜 놓은 경우 2.x ~ 1.x W 소비 전력을 먹습니다.

사용 하지 않을 때에는 스위치를 내려야겠습니다.


체중 4.5 kg! - 플라스틱 케이스라 비교적 마른 몸무게를 자랑 합니다.


후방(?!) 상세 제원 - 110V 겸용 스티커라 120V 표기를 추가 하고 지워 놓았습니다.


QM5 순정으로 최초 장착 되던 MANN FILTER를 Aliexpress 에서 직접 구입 해 보았습니다.

가격은 국산으로 변경된(가격은 낮아진) 순정 필터와 비슷한 가격($12.xx 무료배송)으로 구매 가능 합니다. (NISSAN X-TRAIL / ROGUE 등과 동일 부품 사용 합니다)

검색은 Aliexpress 에서 C2433/2 로 검색 하면 찾을 수 있습니다. 

MANN FILTER가 아닌 이름 없는 호환 필터는 약 반값인 $6~$7 정도로 무료 배송 되고 있습니다.


구입한 MANN FILTER는 Spain 에서 제조 되었고, 속, 겉, 홀로그램 모두 MANN 정품으로 확인됩니다. 또한 예전 MANN 순정 사용 경험이 있어 생긴 것도 동일하게 잘 구성 되어 있음을 확인 했습니다.

참고 사진 남깁니다.









좌: 새로 구입한 MANN필터, 우: 국산화된 순정 필터(1만 km 사용 후)


큰 크기 사진은 아래를 통해서 확인 하세요.

012345678


DIY - ITRONICS ITB-2000HD 시리즈 백업 배터리 교체 (아이트로닉스)

현 시점 제가 사용하는 블랙박스인 아이트로닉스 ITB-2000HD Plus 모델과 ITB-2000HD 모델의 백업 배터리 교체 내용을 매크로 사진과 함께 정리 합니다.

저는 GPS 장착했음에도 불구하고 재시동 하게 되면 시계가 리셋되어 버리고, GPS 인식 이후에도 시간 보정이 되지 않았습니다. GPS 상관 없이 백업 배터리가 동작 하지 않으면 제대로 된 시간을 볼 수 없답니다.


처음에는 용량 큰 CR2032 등으로 바꾸려 했더니, 이런 배터리는 사용 불가 입니다!

백업 배터리는 보통은 단추전지가 아닌 리튬 이온 충전 배터리 입니다. 부품명 MS621 으로 검색 하시면 오픈 마켓 에서 싸게 구입 가능 합니다. (택배비가 5배는 더 나오기에 적절한 판매자의 일반 배터리 살 시점에 같이 구입하시거나 한개가 아닌 여러개 - 상황에 따라 1년에 1회 교환이 필요 할 수 도 있기에) 


여러 제조회사에서 판매하고 있는데 저는 Seiko Instruments 사에서 나온 제품을 선택 했습니다. 원래 장착된 FDK 제품이 이상하게도 제 블랙박스에서는 1년도 되지 않아 수명을 다해서 다른 선택을 했네요. (해당 백업 배터리가 1년이 되기 전에 수명이 다 되어, AS센터 방문 후 한번 교체 했답니다)


SEIKO MS621 Data sheet 는 아래와 같습니다. (리튬 이온 충전 배터리)

TypeMS621FE
Nominal Voltage(V)3
Charge Voltage (Standard Charge Voltage)(V)2.8 to 3.3(3.1)
Nominal Capacity(mAh)5.5
Internal Impedance(Ω)80
Standard Charge Discharge Current(mA)0.015
Maximum Discharge Current (Continuous)(mA)0.25
Cycle Life (Time)100% D.O.D(Depth of Discharge)100
Cycle Life (Time)20% D.O.D(Depth of Discharge)1000
Size Diameter(mm)6.8
Size Height(mm)2.1
Weight(g)0.23


사진과 함께 간단히 분해와 교체를 살펴 보겠습니다.

** 큰 사진은 본문 맨 하단에서 확인 가능 합니다.


새로 구입한 SEIKO MS621 버턴형 충전지 (500원 이하의 가격으로 구입 가능)


분해 대상인 ITB-2000HD Plus (기판을 보니 2000HD 와 다른 것은 기판의 버전 0.1 차이!)

아래에 보이는 LCD 쪽 고정 볼트 4개를 분리 합니다 - 보통 사용하는 작은 십자 드라이브 사용


위쪽의 고정 볼트 2개를 분리 합니다.


메모리 카드는 본체에서 빼어 내세요! (옆쪽 분리를 위함입니다)


본체 케이스 앞/뒤를 분리 하기 위해 아래 틈이 보이는 중심으로 주변으로 손톱 + 작은 십자 드라이브로 조금씩 분리 합니다.


후방 카메라 연결 부위의 겹합 부분부터 마찮가지로 분리 합니다.


분리 중~ / 살살 내부 기판은 건드리지 말고 케이스만 밀어서 분리 하세요~


케이스가 분리 되었다면 확~ 당기시지 마시고, 아래의 내부 케이블을 고려하시고, LCD 쪽으로 기판을 위치하세요 (플랙시블 케이블 분해 할 필요 업습니다)


정리하면, 기판은 LCD쪽으로 위치 해 두고, 반대편에 연결한 커넥터를 분리 해 주세요. (앞창문쪽 문자 표시 부분과 연결)

원래 스피커 연결 케이블도 분리 해야겠지만... 제 제품은 스피커가 고정 되지 않고 떨어져 있는데... 큰 문제는 없고, 더 편하더군요.


우리가 교체해야 할 충전지는 카메라 모듈 아래쪽에 위치 합니다.


카메라모듈은 별도 고정장치 없이 커넥터 하나로만 연결 됩니다.




위로 살살 당기면 비교적 쉽게 분리가 됩니다. 아래의 검은 부분은 두꺼운 양면 테잎이라 살살 달래시면 쉽게 떨어 집니다.


아래 사진 기준 커넥터 반대편에 교체 대상 배터리가 보입니다.


전체 배치도를 보면 아래와 같구요


이미 한번 AS가서 교체한 이력이 있어 단자가 수작업 된 상태로 확인


그리고 충분히 예열 된 납땝인두로 전극을 분리 합니다. 힘 보다는 충분한 온도 상태(400도 추천)에서 분해 합니다 (기판 전극이 상하지 않게)


아래는 새로운 충전지로 장착한 결과물 입니다. 플러스와 납을 좀 사용 했더니 깔끔하지는 않지만 제대로 납땜은 되었습니다.


확대!


조립 전, 기판의 뒷면 감상... 부품 수가 적지 않네요. 큰 부품 2개는 수퍼 캐패시터로 사고로 인한 전원이 끊어졌을 때 마무리 전원을 하는 부품 입니다.


그리고 앞서했던 분해의 역순으로 잘 조립 해 주세요



아래는 ITB-2000HD 모델에 대한 작업 입니다. 기판 번호만 1.5C / 1.5B 다르고, 거의 같습니다.


동일하게 배터리 교환 한 결과물 - 우측 아래에 수명이 다한 배터리 모습이 보입니다.


교체 완료 후의 수명이 다한 충전지 2개 - 전극 사이의 개스킷에 흰색 내부 물질이 보입니다.


이상 블랙박스 내장 충전형 백업배터리 교체 방법을 소개 드렸습니다.


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