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크기의 전자동 네스프레소 머신 고장과 수리 과정을 간단히 요약하고, 받은 보고서를 공유합니다.

 

네스프레소 U머신이 드디어(?!) 고장 났습니다!

자동 기능 덕분에 여러 고장이 많은 모델인데 보통 많이들 겪는 추출 후 커피 배출 부분 문제가 아니라, 스팀커버가 파손이라고 하네요.

고장 시점에 "빡" 하는 꾀나 큰소리로 부서지는 소리가 나는 것이 특이점입니다.

 

이미 고장에 대해서 예견되었던 상황이라(어느 순간 잡소리가 들리는 증상) 무덤덤하게 AS 연락하고 고장 접수했습니다.

익히 아는 대로 U머신은 35,000 원이 표준(?) 수리 비용입니다. 다만 임시 대품 머신을 받지 않는 조건입니다.

접수 후 비용은 별도 자동 ARS 형식으로 카드 결제를 진행하는데 - 과정이 쉽지 않더군요. (전화 상태가 이상하게 빠져서 결국 다시 전화 걸고 다시 결제 시도하는 불편함) 카드 번호와 기한을 일일이 눌러 주셔야 합니다.

 

적지 않은 부품들이 교환되어서 35,000 원에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입니다.

캡슐 2줄(20개)을 사은품(Roma, Livanto 각 1줄 약 11,800 원 가치) 개념으로 함께 받아서 대충 1만 얼마를 돌려받는 그런 느낌입니다.

택배비 모두 포함되어 있어 대충 2만 원 정도 부품과 서비스 비용으로 생각됩니다.

 

점검결과 및 문제 원인: 스팀커버 파손 

  아마도 자동 추출 과정 중 배출 트레이에 있던 캡슐이 몇 번 끼이는 결과 누적으로 인한 파손으로 생각됩니다.

 

수리(교체)된 부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  찜찜한 부품은 모조리 교체해 주시는 듯하네요.

  • 스팀 커버
  • 추출유닛
  • 기어휠
  • 트롭스톱
  • 펌프
  • 커버

 

아래가 원본 머신 수리 보고서입니다.

U머신을 고장 없이 사용하려면 아래가 핵심 안내로 보입니다. 

  • 배출 컨테이너를 자주 비워서 끼이는 사고 예방 - 몇 번 누적되면 스팀 커버가 파손!
  • 커피 추출 후 물만 한번 더 내리기 - 커피 찌꺼기로 인한 부품 스트레스 감소!

주요 부품 - 특히나 펌프까지 교체되어 쌩쌩하게 잘 동작하고 있습니다.

즐 커피 하세요~

 

FPL 형광등 대체형 LED 램프 ?!

U형태의 형광등 램프 규격인 FPL 36W 램프를 대체할 수 있는 LED 램프가 판매되고 있고 있습니다.

간단히 기존 형광등만 떼어 내고 기존 소켓에 그대로 이러한 FPL형 LED 램프만 장착하면 1/2 소모 전력으로 동일 혹은 그 이상의 밝기로 사용이 가능한 매우 좋은 아이디어 상품입니다.

 

그런데 제가 구입한 제품에도 아쉬움이 있더군요. 깜빡임이 있습니다.

물론 일부 싸구려 LED 램프처럼 완전히 꺼지는 구간이 있는 제품은 아니지만 분명 제 눈에는 확연히 구분되는 깜빡임이 있습니다.

비교적 저렴하고 간단하게 FPL형 LED 램프에 대해 깜빡인 개선 작업을 정리해 봅니다.

 

깜빡임은 고속 촬영된 동영상으로 쉽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준비물

  • FPL형 LED램프
  • 330uF 100V 전해 캐페시터
  • 전선
  • 열수축 튜브(캐페시터 다리 절연용)
  • 커넥터(선택사항)
  • 납땜 공구(인두기, 땜납 등)

 

주의사항!

본 개조로 인해 해당 LED 램프에 대한 보증 서비스를 받을 수 없을 수 있습니다.

LED 전원부는 60V 정도의 직류 전원이 흐르기에 합선 혹은 용량 미달 부품을 사용하는 것은 직접적인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잘 숙지하시고 작업 결과는 개별 작업자에게 그 책임이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약간의 깜빡임이 그래도 인지 가능함)

최종 방법은 아니지만 100uF 용량의 전해 캐페시터만 있다면 시도해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순정 상태보다는 분명 개선되지만 그래도 일정 수준의 깜빡임이 있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램프의 끝 부분 2개 나사를 제거하여 플라스틱 커버를 벗기면 아래와 같이 전원 모듈과 LED 소자 모듈의 결합 부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가운데 두 - / + 전극 부분에 캐페시터를 잘 장착(납땜) 하는 것으로 깜빡이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극성에 맞게, +는 부품의 다리와 직접 연결하고, -는 추가적인 전선을 사용하여 연결했습니다.

100uF 부품이라 케이스 안으로 넣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100uF 이라 케이스 안으로 쏙 들어가서 마무리는 깔끔했습니다.

 

두 번째 방법(최종)

330uF 용량의 전해 캐페시터를 사용한 방법으로, 앞서 첫 번째 시도와 달리 캐페시터를 형광등 밖으로 빼서 매달아 두는 형태로 작업을 완료했습니다.

330uF 용량이 앞서 100uF 보다 무려 3배 이상의 수준이라 그에 따라 크기가 훨씬 커졌습니다. 그래서 LED 모듈에 넣기 쉽지 않고 또한 LED 소자 근처에 두어야 해서 온도 상승에 따른 수명 저하(캐페시터 자체 수명)를 고려하여 작업을 했습니다.

 

우선 8cm 정도의 전선으로 LED 모듈 전원 단자와 연결합니다. (사진 참조)

커넥터로 처리할 필요는 없지만, 취향(?!)에 따라 커넥터 형태 혹은 직접 연결을 합니다.

저는 굴러 다니는 커넥터 쌍이 있어 아래처럼 분리형으로 작업했습니다. 꼭 이럴 필요는 없습니다.

아래의 커넥터 없이 바로 연결해도 문제없습니다. 대신 캐페시터 다리가 노출되지 않도록 절연 처리를 열수축 튜브로 마무리를 잘해 주면 좋습니다.

아래처럼 보통 테이프로 고정을 하여 장착 후에 아래로 처지지 않게 처리합니다.

 

최종 장착!

 

참고로 사용한 LED 램프는 아래의 회사 제품입니다.

가성비로는 선택 한 제품으로 구입 시점에는 트레이더스에서 구매하는 것이 최저가였습니다.

 

제조자: 탑룩스

모델: ST36

램프 전력: 18W

색온도: 5700K

 

삼성전자 고속 충전 보조배터리 EB-P1100C 사진 몇 장 기록으로 남겨 봅니다.

모델명: EB-P1100C XU100246-18068

제조사: Scud(Fujian) Electtronics Co., Ltd,

제조국가: 중국

INPUT: 5.0V 2A / 9V 1.67A / 12.0V 1.25A

OUTPUT: 2 X 5.0V 2.0A (Max. 3.0A) / 9.0V 1.67A Max. / 12.0V 1.25A Max.

Li-ion1ICP10/58/102 3.85V 10.0Ah 38.5Wh

 

012345

기록 차원에서 자료를 남겨 봅니다.

 

스텝 업/다운 동시에 되는 모듈로 정전류까지 제공합니다.
최초 사용처에서 test 중 고장이 나 버렸는데, 이유는 출력 쪽에 입력에 준한 전류가 연결 되는 경우 내부 MOSFET이 죽어 버리는 것 같습니다.
아래 과정을 통해 한번 살리고, 회로를 개선 했음에도 MOSFET 스펙에 맞지 않은지 과전류로 또 죽어 버렸네요.
어찌 되었건 자료로 남겨 둡니다.

 

이쪽은 확인 결과 정상

 

이쪽이 고장난 MOSFET - Fairchild FQP50N06 - 60V 50A RDS 0.022옴

 

예는 다이오드

 

LM324 - Op Amp.

 

 

 

떼어 내기 전에 아래 처럼 캡톤 테이프를 처리 하고 진행 했습니다. (열풍기 이용)

교환 처리한 MOSFET은 오래된 컴퓨터 마더보더에서 추출한 NTD60N02R 로 62A, 25V, N-Channel RDS 8.4m옴 스펙

 

012345678

사실 이건 리콜 수준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제가 공유드린 글과 같이 저는 이 문제를 직접 해결했지만, 여러 SM3 소유자가 많은 고통을 당했던(현재 진행형) 문제입니다.

 

해당 글: [DIY] New SM3 (L38) 후방 깜빡이 점멸 접촉 불량 수리 (펜더 측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DIY] New SM3 (L38) 후방 깜빡이 점멸 접촉 불량 수리 (펜더 측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New SM3 (L38)의 고질적 품질 문제 중 하나로 생각 되는 후방 깜빡이등 접촉 불량 수리를 간단히 정리 해 봅니다. 접촉 불량이 발생하면 후방 깜빡이가 점등 하지 않고 전방 깜빡이만 빠르게 점멸하여 램프 단선을..

whoisit.tistory.com

그런데 직접 고쳐서 당장 증상이 다시 나타나지 않은 경우도 대응 해 줄지 궁금합니다.

증상이 당장 없다고 안 고쳐 주면, 하나 마나 무상 수리 시전일 뿐이라.

 

 

오늘 집으로 날아온 안내서 내용 공유드립니다. (와이프 소유 SM3 차량)


SM3 후방 방향지시등 오작동에 대한
고객 케어 프로그램 실시 안내문
르노삼성자동차를 이용해주시는 고객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 니다.
SM3 일부 차량에서 후방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가 확인되어,
보증기간이 지난 차량을 보유하신 고객 님을 위하여 무상 수리를 실시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 고객 케어 프로그램 내용 >

항목 내용
대상 차종 SM3 가솔린, 디젤 차량
(LED 램프 장착차량과 전기차(SM3 Z.E.)는 대상이 아닙 니다
제작년월일 2009년 4월 20일 ∼ 2018년 12월 13일
발생 원인/현상 후방 램프의 커넥 터 접촉불량으로 인한 간힐적 오작동 /
방향지시등 또는 제동등이 정상속도보다 빠르게 점 멸합니다.

보증
기간
확대

내용 당사의 보증기간 (출고후 3년 이내 또는 주행거리 60,oookm이 내)과
상관없이, 위의 현상에 해당되는 경우 차량의 연식과 주행거리에
무관하게 아래의 시행일 내에 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항목 후방 방향지시등 내부의 램프 홀더와 램프 배선
시행 2019년 11월 29일 ∼ 2021년 12월 BI일
조치 방법 점검 후 후방 방향지시등 내부의 램프 홀더와 램프 배선을
교환(좌, 우) 합니다
운행 시 주의 사항 방향지시등 작동 시 계기판의 램프가 정상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점멸하는
경우 가까운 르노샴성자동차 서비스점으로 방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고객 님께서 불편함이 없도록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해드릴 것이며 현재 부품 확보를 위해
최대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기타 사항은 르노삼성자동차 엔젤센터 (080-300-3000)에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르노삼성자동차 대표이사
도미 닉 시뇨라


아래는 스캔한 원본 이미지 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