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은 민교아빠 님 입니다.

[항상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원글은 "민교아빠의 공간
"에 있습니다.

참고: 2013년 5월 국내 자동차 판매량










.



취미로 AVR 8bit MICOM을 한때 쬐끔... 아주 쬐끔 만졌습니다.

이번에 다시금 무언가 만들어 보려고, 약간의 투자를 했답니다.


1. 처음 구입한게 패러럴(병렬) 포트용 ISP 

    속도가 느린데, 원래 느린줄 알았답니다.


2. WIZ AVR ISP 

    컴퓨터를 업글하니 패러럴 포트는 없어서, QM동호회에서 얻어 사용한 제품으로

    STK500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호환품입니다.

    한동안 잘 사용 했는데, 호환품으로 업글하다 - 죽였다 살렸네요 @@


3. AVR ISP MKII 

    앞서 바보짓을 하지 않고, 최신 AVR IDE환경을 사용하기 위해 아예 정품을 구입!

    아직도 여유가 없는 관계로 기존 보드 몇개 물려 보았는데...

    오! 신세계 입니다. 보드 전압도 알려주고, 에러 상황도 LED와 함께 IDE에서 알려 주네요

    업그레이드도 한방에 해 버리고.... 정품이 좋긴 합니다. 유사품의 3배 가격이지만... 만족도는 100%


참고사진 나갑니다~

대형 크기로 그냥 올립니다 - 클릭하면 큰사진!


껍데기 사진




알맹이는 누르끼끼 박스


비싼 몸이신 본체


추가 박스를 뒤로 열면 참고 DVD(각종 AVR datasheet와 App. note)와 USB 케이블이 있습니다.



기본 6pin ISP라, 10pin을 내부에서 끼워 넣을 수 없을까 해서 배를 갈라 보았네요.

하지만.... 애매해서 다시 덮고, 외장으로 6pin - 10pin 변환 어댑터 자작(추가 주문 하고도 못기다려서)

크게 보시면 아시겠지만, 정품이 비싼 이유가 나름 설명 되는 듯 합니다.

각종 보호회로 등이 추가 되어 있고, 메인 칩으로 자사의 ATMega128을 사용 하더라는 @@


.



확장 슬롯으로 USB 3.0 카드를 설치는 해서 잘 사용 중이나~

휴대용 외장하드(당연히 USB 3.0)를 연결할 때 마다 머리를 힘들게 숙여 가며... 몇번 해 보니

힘듭니다.


그래서 결국 USB 3.0 Hub도 구입.


걍 잘 작동합니다. USB 3.0 Hub는 이쁜 녀석이 없어서 그냥 기능 위주로다가 구입.


참고 사진 올라 갑니다. (걍 큰 사진으로 다가 - 클릭하면 큰 사진!)



허브 본체 + USB 3.0 A-B 연결 케이블 + 외부전원 공급용 5V 어댑터


5V 2A 용량의 스위칭 방식 어댑터, USB 3.0형 커넥터 모습


.



작성은 민교아빠 님 입니다.

[항상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원글은 "민교아빠의 공간
"에 있습니다.

참고: 2013년 4월 국내 자동차 판매량









.



.






공짜로 얻어서 잘 사용하던 WIZ AVRISP를 업그레이드 해 보려다가, 먹통을 만들어 버렸네요.

(*AVRISP = Atmel 사의 8bit AVR micom 프로그래머)


결과적으로 AVR Studio에서 제공하는 upgrade file은 사용 불가고, 먹통이 됩니다.

해서~ 인터넷을 뒤져봐도 이미 회사도 문을 닫은 WIZ AVRISP 펌웨어 구할 수는 없고.


인터넷을 이리저리 뒤진 끝에 fixSTK500 이라는 문서를 보고서야 겨우 원기 회복을 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예전 AVR 자료를 뒤지니 직접 펌웨어 back-up 해 놓은 파일을 발견!!


다시금 원상 복구 완료 하게 되었네요.


혹시나 필요하신 분이 있을까 파일 첨부 해 둡니다.


Flash.hex


추가로, WIZ AVRISP는 USB 디바이스 드라이브로 Silicon Labs CP210x USB to UART Bridge device driver를 사용 하시면 됩니다. 


관련 문서와 구형 드라이브도 함께 첨부 해 둡니다.


wiz_avrisp_rev2.0.pdf


wiz_avrisp_usb_driver_ver1_1.zip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