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SM3 램프 DIY 자료 입니다.

앞서 내용에서 DIY를 위한 기본 정보를 확보 했습니다.
시중 판매중인 LED 램프를 사용 하실 분도, 전용 제품이 아니라면 구입전 꼭 필요한 정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는 실제 실내등 LED를 만드는 작업을 사진 위주로 살펴 봅니다.


1. [New SM3] 램프 DIY - 준비용 참고 자료
2. [New SM3] 램프 DIY - LED 램프 직접 만들기
[지금 보고 있습니다]




[아래 사진: 실내등 램프를 웜화이트 LED바를 이용하여 만든 결과
New SM3 LED 실내등 DIY


1. 앞뒤 실내등 제작
New SM3 앞뒤 실내등은 트림에 따라 3등식 앞뒤 혹은 앞 3등식, 뒤 1등식입니다.
여기서는 3등식 2조를 제작 했습니다.

앞서 올린 자료를 보면 3등식의 경우 T10 소켓 3개를 사용하는데, 중앙부분은 비교적 넓고, 좌우는 원형이라 매우 좁습니다.

주 재료가 원화이트 LED바 입니다.

그래서 중앙의 넓은 부분(60mm X 30mm)은 LED바 3조각(길에 5cm)을 연결하는 것 만으로도 OK 입니다.
그러나 좌우의 동그란 부분은 지름 27 파이로... LED바를 그대로 사용 할 수 없습니다 <세상에나 ㅠㅠ>
그래서 일반 LED 칩을 사서 만드는 것이 더 편하겠으나, 웜화이트 SMD 3칩 LED 를 구하는 것이 하늘에 별따기(혹은 엄청난 가격)의 상황이라,
기존 LED바를 직접 잘라서(혹은 떼어서) 새로이 구성 했습니다.
표현은 한줄인데, 엄청난 노가다와 정성이 들어가야 하는 아픔이 있습니다.


2. 중앙부분
중앙 부분은 단지 LED바 3조각을 붙이고, 전선 연결하고, 다이오드와 소켓 부착으로 완료 할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 2장으로 대신 합니다.

[중앙 부분 완성품 - 앞쪽에 +전극을 연결한 빨간색 선이 보입니다]
실내등 중앙 모듈

[중앙 부분 완성품 - 뒷쪽에 다이오드와 T10소켓을 연결하며, -극을 검정 선으로 연결해서 완성]
노란 수축 튜브 안에 다이오드가 위치 합니다.
실내등 중앙 모듈 - 뒤


3. 양쪽 동그란 부분
지름 27mm안에 LED를 위치 시켜야 합니다. LED바 한 조각이 50mm 이므로 사용 불가. 그래서 웜화이트를 그대로 사용하고자... 무식하게 LED만 잘라 내었습니다(ㅠㅠ)
아래처럼, 칼로 충분히 자를 부분을 긋고, 니퍼로 좀더 깊에 홈을 냅니다.
그리고 힘을 쓰야 합니다. 플라이어라 하나 하나 잘라야죠!

[LED만 잘라내기]
실내등 좌우 모듈 만들기 - LED바 자르기

[아래처럼 분리합니다 - 자르고서 다듬질 하셔야죠! 줄 등으로 매끈하게~ ]
실내등 좌우 모듈 만들기 - LED바 자르기 결과

[LED만 직접 재결합한 최종품]
실내등 좌우 모듈 만들기 완성품

[뒷 부분을 보면 +쪽으로 저항을 각각 붙여 두었습니다 - 원래 LED 바에 있던 저항 그대로 재활용]
실내등 좌우 모듈 - 뒷면

[T10 소켓에 다이오드를 끼워서 공간을 절약 합니다 - 클릭하면 큰 사진으로 볼 수 있습니다.]
T10소켓에 다이오드 내장연결 1T10소켓에 다이오드 내장연결 2
T10소켓에 다이오드 내장연결 3T10소켓에 다이오드 내장연결 4

같은 부품을 아래처럼 LED만 떼어서(SMD LED 부품이 있다면) 제작도 가능 합니다.
 - 참고: 아래 LED는 LED바에서 직접 한땀한땀(이것이 아니고 한개 한개) 분리하는 멍멍 고생^^
실내등 좌우 모듈 - SMD 납땝식 앞실내등 좌우 모듈 - SMD 납땝식 뒤

부르뜨려 만들기와, LED 조립 비교
[LED 램프 뒤로 양면 테잎을 붙여 둡니다. 또한 T10 소켓도 마찬가지로 붙여 둡니다.
실내등 좌우 모듈 - 잘라붙이기 / SMD 부착 비교

LED 램프 뒷면에 붙일 경우 충분한 크기로 잘라 붙여서 최종 부착시에 고정용 접착 부위로 활용 합니다.


4. 글로브박스 램프(36mm) 만들기
글로브박스는 표준 36mm 크기라... 또한 웜화이트가 구지 필요없는 부분이기도 해서~
5050 3칩 웜화이트 칩으로 작업 했습니다.
아래 사진들로 상세 설명은 대신 합니다.


[소캣 부분은 판매제품을 이용 합니다. 기판은 아래처럼 이쁘게(!) 잘 잘르고, 다듬질 합니다.]


[뒤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표준 36mm 와 거의 같은 크기!]


중요 팁!
LED를 기판에 바로 납땜하지 말고 아래처럼 LED 3개를 직접 납땝하면 이후가 깔끔하답니다.


LED 3개 직접 납땜한 모듈 2개를 차례로 부착


단면 기판이라, 전극은 아래부분에서 1심 선을 이용하여 연결


기판 뒷면에약 50옴(48~52 추천)의 SMD 저항을 부착했습니다. 또한 역전압 보호용 다이오드 하개도 부착.


왼쪽: 이전에 실수로 만든 32mm 모듈
오른쪽: 새로이 만든 36mm 모듈


이것 이외에, 트렁크 램프, 번호판 램프도 만들었는데...
워낙 고생하면서 만들다 보니 사진이 없습니다 ㅠㅠ

솔직히 재미와 웜화이트 혹은 직접 고른 LED를 사용하고자 하는 필요성 때문에 시간을 들여 만들었고, 그렇지 않다면 그냥 시중 제품을 구입하는게 시간 절약에 좋을 것 같습니다.
직접 DIY하면 원하는 LED칩와 형태를 구성할 수 있지만, 소요 시간이 만만치 않음을 미리 고려 하셔야 합니다 ^^

이상 New SM3 용 LED 램프 DIY 내용을 마칩니다.

장착 사진도 - 아쉽지만 없네요 ㅠㅠ / 장착중에 병원갈일이 생겨서... 사진을 찍지 못했답니다.

참고자료: 순백색 LED와 / 웜화이트 LED비교 (아래 LED는 좀더 백색계열 웜화이트 입니다)




QM5가 아닌 New SM3 램프 DIY 자료 입니다.

제 차는 아니지만? 집사람 차에도 QM5처럼 실내등은 웜화이트, 다른 램프는 순백색(푸르지 않은) 램프를 장착 하기 위해 수집한 자료를 공개 합니다.


우선 배경 자료를 정리하여 올려드리고, 직접 만든 LED램프는 추가로 별도로 올립니다.


1. [New SM3] 램프 DIY - 준비용 참고 자료 [지금 보고 있습니다]
2. [New SM3] 램프 DIY - LED 램프 직접 만들기



1. 중앙 실내등
실내등 모듈 크기 확인
가로: 약 157mm
세로: 약  67mm






LED 매립 공간 계산
중앙 사각 부분: 60mm x 30 mm (깊이 15mm)
양쪽 둥근 부분: 지름 27mm (깊이 15mm)

T10 표준 Lamp 높이 기준 약 5mm의 여유공간이 있음.



2. 글로브 박스 램프
글로브 박스는 표준 36mm 길이의 C5W 램프를 사용

32mm 램프는 길이가 짧아서 사용 불가 함.
램프 가이드 부분의 영향으로 실제 20mm x 20mm 부분 안에서 표준 36mm 램프 크기 보다 큰 LED 램프 장착 가능






3. 트렁크 룸 램프
글로브 박스는 표준 T10 형태의 W5W 램프를 사용
넓은 공간에 비해 5W짜리 램프로는 많이 부족한게 현실!

T10형 소켓으로 하고, 전면 크기 45mm x 18mm 크기로 LED를 다수 탑재 하는 것이 유리 함.




4. 번호판 램프
번호판 램프는 표준 T10 형태의 W5W 램프를 사용
시중에 판매하는 T10형 소형 램프를 사용 해야 함.

주의!
  좌우가 반대방향 대칭으로 끼워져야 하므로
  방향성이 있는 램프의 경우 무극성 램프를 사용 해야 함!
  또한 전면(램프 윗쪽)만을 비추는 램프 사용하면 안됨!
   – 사진에서 확인 되듯이 램프의 옆쪽으로 빛이 나가야 되는 형태!




본 내용은 아래의 PDF파일 형태로도 제공 드립니다. 실전 출력에는 아래 파일을 사용 하세요!


아래 내용은 정전압 회로 구성을 위해 "아주 흔하게" 사용하고 있는 34063 1.5A, Step-up/Down/Inverting Switching Regulators 에 관한 자료 정리 입니다.

처음에는 LM2576에 관심을 가졌는데, 여러 차량용 충전기와 회로를 뜯어보니 MC34063A가 대세더군요.
부품 단가를 알아보니 이유가 충분히 있습니다 LM2576은 최소 1,000 원에 비교하여 34063A는 200 원 이면 구입이 가능합니다. 다만 주변 부품이 좀더 필요하긴 한데, 저항몇개이므로 몇십원 더 들어가는 것에 비교하면 단가 싸움에서 승리의 원인이 있는 것 같네요.
다만 LM2576은 3A 용량에 단지 4개의 주변 부품만 필요하기에 대용량에는 이것을 선택 해야 할 것 같네요.

7805의 경우 Linear방식이므로 여기서 언급 하지 않습니다. 12V 입력 전원에서 7805은 적지 않은 열을 내기 때문에 사용에 적당하지 않습니다.

말 그대로 자료 정리이므로, 이 내용은 수시로 갱신 됩니다.

34063A PDIP-8 패키지 사진



34063A 응용 보드들
 - 왼쪽 2개는 개당 단돈 1,000 원!, 윗쪽의 시거짹 타입도 1,000 원이면 구입이 가능 합니다! 놀랍죠!



34063A Data sheet

34063A 특징
1.5A 용량의 Step-up/Down/Inverting Switching regulators!
즉 방열판 없이 사용가능하며 설정한 정전압을 얻을 수 있으며, 입력 전압보다 높게, 거꾸로도 만들 수 있 있습니다.
* Operation from 3.0 V to 40 V Input
* Low Standby Current
* Current Limiting
* Output Switch Current to 1.5 A
* Output Voltage Adjustable
* Frequency Operation to 100 kHz
* Precision 2% Reference


34063A 전압설정 방법
위의 그림처럼 단돈 1,000 원이면 완제품 혹은 반제품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해야 할 것은 단지 전압확인 혹은 전압 조절을 위한 저항값 변경 정도 입니다. 아주 저렴한 가격에 원하는 전압을 얻는 최소 투자 방법 중에 하나라고 생각 됩니다.

전압 설정은 아래와 같이 계산 됩니다.
(음 그런데 R1 범위가 없네요 ㅠㅠ... 2576의 경우 1.0k ~ 5.0 k 사용 )


출력전압(Vout) = 1.25 ( 1 + R2 / R1 )

R1과 R2를 찾는 방법
34063의 5번 핀과 직접 연결된 저항 2개가 바로 R1, R2이고
그중 GND로 연결된 것이 R1, 출력전압쪽과 연결된 것이 R2 입니다.

보드1: R1= 1K , R2= 2.4K  >>>>>   1.25(1+2.4/1) = 4.25 V
보드2: R1= 0.58K, R2= 1.36K  >>>>>  1.25(1+1.36/0.58) = 4.18 V
보드3: R1= 1K, R2= 2.4K  >>>>>  1.25(1+2.4/1) = 4.25 V

R1
1K가 달린 보드에 10V 출력을 만들기 위해서는
1.25(1+ ?/1) = 10 수식을 풀면 되겠네요.
 - 수학시간 방정식이 이때 쓰야겠죠. 여처 저차해서 계산하면

7K 옴이 되는 군요 ^^ 10K짜리 가변 저항 하나면 다영한 출력이 가능 하겠습니다.
> 10V를 찾는 이유는 3.3V 짜리 White LED 3개 직렬 때문입니다
   물론 3.3V로 출력 해서 해도 되겠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3개 직렬이 필요 한 경우도 있기에~
> 7K는 판매하지 않으므로 7.5K 사용시 약 10.62V 
   White LED3 개 직력시에 각각 3.54V 부담. 이므로 사용은 가능.


참고자료
내부 회로도(기판 아래시점)


핀 연결도(윗쪽 시점)


Step down 회로도


Step up 회로도


Invert 회로도





+ Recent posts